반응형 공무직정보31 공무직 복무4(휴가, 병가) ·서울시 교육청의 교육공무직 휴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휴가제도의 운영 1. 휴가 신청 및 승인: 휴가를 사용하고자 하는 교육 공무 직원은 승인권자에게 나이스 개인 근무상황을 신청하여 휴가 사용 전까지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불가피한 사유로 사전승인을 얻을 수 없을 경우, 늦어도 당일 정오까지 본인이 기관장에게 승인을 신청하여야 하며, 직접 신청이 어려운 경우 다른 교직원으로 하여금 이를 대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방학 중 비 근무자의 경우 방학 기간은 근로의무가 없으므로 휴가 사용 불가) 2. 휴가일수의 계산: 연차 유급휴가, 병가, 난임치료 휴가, 자녀 돌봄 휴가, 가족 돌봄 휴가는 회계연도 단위로 부여합니다. 휴가기간 중의 휴일과 토요휴무일은 다음과 같이 처리합니다.(단체협약 제59조) -.. 2022. 7. 9. 공무직 복무지침2(근로시간,휴게시간,연장근로 feat.근로기준법) 서울시 교육청 교육공무직 복무지침 그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근로시간, 휴게시간, 연장근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근로시간 (근로기준법 제50조, 단체협약 제49조) 가. 근로시간의 개념 1) 법정근로시간: 근로기준법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 근로시간(1일 8시간, 1주 40시간) 2)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사용자와 근로자 간 정한 근로시간 - 근로시간은 교육 공무 직원이 사용자의 지휘 및 감독하에서 근로하는 시간으로 휴게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의미 나. 적용제외자: 감시 단속적 근로자로 고용노동부 승인을 받은 자(당직)는 법정근로시간제한 규정을 적용받지 않음 다. 유의사항: 근로시간을 근로계약서에 명시하여야 하며, 기관장은 교육활동 지원 또는 업무상 불가피하여 명시된 출퇴근 시.. 2022. 7. 6. 공무직 복무지침1(겸업허가 등) 2022년 서울시 교육청 공무직 복무지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교육 공무 직원의 정의: 각급 교육기관에서 교육행정 또는 교육활동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를 의미합니다. 각급 교육기관이란? 서울특별시 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에 따른 본청, 교육지원청 및 직속 기관과 서울특별시 시립학교 설치 조례에 따른 공립 유치원, 공립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특수학교·각종 학교를 말합니다. 2. 계약 기간별 유형 가. 무기 계약 근로자: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 계약을 체결한 근로자 나. 기간제 근로자: 기간의 정함이 있는 근로 계약을 체결한 근로자 * 무기 계약 근로자 정년(단체협약 제35조, 교육공무직 채용 조례 시행 규칙 제22조) 1) 정년: 만60세(당직, 미화원은 만 65세) .. 2022. 7. 4. 공무직 생활임금 및 수당(feat. 호봉제 임금과 수당) 서울시 교육청에서는 기간제 공무직을 위해 생활 임금을 적용하고 있는데요 2022년 생활 임금과 그 적용 범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2022년 생활 임금: 시급 11,010원 / 일급 89,920원 - 2021년 생활 임금 11,010원 대비 2.1% 인상 - 적용 기간(2022 회계연도) - 공립학교: 2022년 3월 1일 ~ 2023년 2월 28일 - 교육행정기관: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 적용 방법: 예산 편성 시부터 생활임금으로 편성 및 집행 - 일급: 8시간 기준 2. 적용 범위 - 적용 대상: 공립학교 및 교육행정기관 소속으로 호봉제 및 월급제(유형 1, 유형 2, 특수 운영 직군 등)가 아닌 일급제 또는 시급제로 임금을 지급받는 교육 공무직원 - 자율 적용.. 2022. 7. 3. 공무직 특수운영직군 임금 및 수당 등 ◈ 특수 운영 직군 임금 및 복리비 관련 사항 1. 2022년 주요 변경 사항 2. 특수운영 직군 직종별 임금 체계 가. 임금 체계 및 구성 항목 1) 당직 전담원·미화원: 기본급+급식비, 명절 휴가비, 맞춤형 복지비 및 정기 상여금(연 30만 원) - 시간 비례 지급 항목: 기본급, 명절 휴가비, 맞춤형 복지비 - 요건 충족 시 지급 항목: 급식비 * 격일제 당직 전담원의 급식비는 지급 요건 충족 시 반액 지급 (시간 비례 방법 등 구체적 지급 기준은 아래 세부 내용 참조) 2) 시설관리원·콜센터 상담원: 유형 2 급여 체계 적용(시설관리원 및 콜센터 상담원은 2022 회계연도부터 유형 2에 편입) 나. 당직 전담원, 미화원 임금 및 복리비 지급 기준 1) 계약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 유형 2 기본.. 2022. 6. 29. 공무직 시간제돌봄 근로시간 연장?(임금과 복무는?) 서울시 교육청에서 노사 합의가 완료되어 시간제 돌봄 전담사의 근로 시간이 2022년 7월 1일부터 연장된다고 합니다. 노사 합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시간제 돌봄전담사 근로 시간을 일 6시간(주 30시간)으로 연장한다. 2. 시간제 돌봄전담사의 근무시간(근무 시작 및 종료 시간)은 13시부터 19시까지로 한다. 3. 시간제 돌봄전담사의 휴게시간은 19시부터 19시 30분까지 유급으로 부여한다. 4. 학교장은 돌봄전담사의 연장근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법령의 범위 내에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를 승인할 수 있다. 5. 돌봄전담사는 돌봄 교실에 인계된 학생의 지도 및 관리 업무를 포함한 돌봄 교실 운영 전반의 행정업무를 전담하여 수행한다. 6. 학교장은 전일제 돌봄전담사를 해당 학교.. 2022. 6. 27.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