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무원정보11

공무원 맞춤형 복지: 근속 점수, 가족 점수(출산 축하, 난임 등) 공무원의 좋은 점 중 하나에는 맞춤형 복지가 있습니다. 맞춤형 복지 점수에는 기본 점수, 근속 점수, 가족 점수가 있습니다. 복지 점수 1점이 천 원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여기서는 공무원 맞춤형 복지 점수의 구성에 따라 몇 점씩 배정되는지, 내 복지 점수가 알맞게 배정이 되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난임 지원 점수는 올해 처음 생겼기 때문에 잘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요, 이건 본인이 신청하지 않으면, 담당자가 챙겨주기 어려운 것으로, 본인에게 덜 배정된 점수는 없는지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공무원 맞춤형 복지 점수의 구성 ○개인별 복지점수는 공무원에게 일률적으로 부여되는 기본 복지점수와 운영기관별로 근속복지점수, 가족복지점수 및 추가 복지점수로 구성됩니다. (매년 1월 1일을 기준) 기본점수 근속점수.. 2022. 9. 15.
공무원의 근무지 내 출장의 의미와 출장비 지급 기준 공무원의 출장에는 근무지 내 출장과 근무지외 출장이 있습니다. 근무지 내 출장은 보통 12km 이내에서 움직일 때를 뜻하지만,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이렇게 공무원의 근무지 내 출장에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근무지내 국내 출장의 의미 가. ‘근무지내 국내 출장’이란’같은 시(특별시, 광역시 및 특별자치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군 및 섬(제주특별자치도는 제외한다. 이하 같다) 안에서의 출장이나 여행거리가 12km 미만인 출장을 말합니다. 이때의 여행거리는 왕복거리를 기준으로 합니다. 출장 시 그 거리가 12km를 넘더라도 동일한 시・군 및 섬 안에서의 출장인 경우 근무지외 출장이 아니고 근무지 내 출장에 해당됩니다. 나. 섬의 경우에는 같은 시・군이라 하더.. 2022. 9. 6.
공무원 휴직 시 휴직 사유(질병,육아,연수 등)에 따른 수당 지급 방법 공무원이 휴직을 했을 경우 휴직 사유에 따라 수당을 지급받기도 하고, 못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서 질병휴직, 육아휴직, 연수휴직 등 다양한 휴직 사유에 따른 수당 지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신체・정신상의 장애로 인한 장기요양 휴직(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 제외) 가) 대우공무원수당, 정근수당 가산금, 자녀학비보조수당, 가족수당, 가족수당 가산금, 주택수당 - 1년 이하의 휴직기간 중에는 「수당액 × 0.3」을 감액하고, 2년 이하의 휴직기간 중에는 「수당액 × 0.5」를 감액합니다. 나) 정근수당: 휴직 1월에 대하여 수당액의 6분의 1을 감액합니다. 다) 특수지근무수당,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 수당 및 군법무관 수당 월 중에 휴직처분을 받거나 복직한 경우 해당 월의 수당액은 실.. 2022. 9. 2.
공무원 수당: 출장여비, 계산 및 정산 방법 공무원 수당 중에서 출장 시 지급되는 출장여비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 근무지 내 출장비를 정액으로 1만 원~2만 원 지급하는데요, 그 외의 출장여비 계산은 조금 복잡합니다. 여기서는 공무원 출장여비의 계산방법과 정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무로 여행할 때 지급되는 출장여비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여비항목 출장 국내출장 근무지내 국내출장 1만원(2시간 이내), 2만원(2시간 이상) 정액 근무지외 국내출장 운임, 식비, 숙박비, 일비 국외출장 운임, 식비, 숙박비, 일비, 준비금 근무지 변경(신규임용 포함) 부임여비, 이전비, 가족여비 *‘공무로 여행하는 때’라 함은 해당공무원이 사적용무가 아닌 공적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여행을 하는 때를 의미합니다. 출장여비의 계산방법 1. 여비의 .. 2022. 8. 31.
공무원 연가보상비 4: 지급방법+시기, 사례에 따른 연가보상비 산정방법 설명(계산 예시) 공무원 연가보상비 마지막 포스팅으로 연가보상비의 지급방법과 지급시기, 그리고 복잡한 연가보상비 산정(계산) 방법을 예시를 들어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가보상비 지급방법 「국가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라 산정된 연가일수에서 사용한 일수를 제외한 미사용연가일수에 대해서만 지급합니다. 연가일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경우는 저축 연가에서 차감하며, 저축연가가 없을 경우 복무규정 및 복무・징계 예규에 따라 해당 연도 마지막 근무 월에 초과된 일수만큼 결근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결근시 보수처리 방법에 따릅니다. (공무원 보수규정 제27・46조,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 제19조 및 동 지침 Ⅷ. 5. 사 참조) 2. 연가보상비 지급시기 지급시기: 상반기는 7월 중 각 기관장이 정하는 날, 하반기는 12월 중 각.. 2022. 8. 30.
반응형